다가오는 2023년 새해, 여러분은 어떤 계획을 세워 준비 중이신가요?
새해를 맞이해 운동 계획을 세우거나 건강에 도움이 되는 생활 습관을 다짐한 분들도 계실 텐데요~
우리 몸을 튼튼하게 유지하기 위해 꾸준한 노력과 관심이 필요하듯, 국민연금도 건강관리가 필요합니다!
국민연금이 오래~오래~ 건강한 재정을 유지하기 위해 시행하는 재정계산,
국민연금의 건강검진이라고도 불리는 재정계산의 목적과 필요성을 더 자세히 알아볼까요?
“
건강검진으로 우리 몸을 튼튼하게!
재정계산으로 노후 준비를 든든하게!
”
재정계산을 시행하는 이유는 크게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요~
첫째, 기금 추이를 확인하고 둘째, 재정 건전성을 평가하여 셋째, 제도의 개선점을 찾기 위해 시행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국민연금제도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함이죠.
이러한 재정계산은 5년을 주기로 꾸준히 시행되고 있으며, 2023년에는 제5차 재정계산이 시행될 예정입니다. 국민연금기금 소진에 대한 우려가 계속되고 있는 만큼, 재정계산의 필요성은 높아지고 있습니다.
기금 소진 시기를 예측하는 재정계산
재정계산은 기금 추이와 함께 국민연금기금 소진 시기를 예측하는데요. 국민연금의 재정 건강 상태를 진단하고 이에 대한 처방을 내리기 위함입니다.
지금까지 시행된 재정계산의 결과를 함께 볼까요?
위의 표를 보면 1차 재정계산과 2차 재정계산 사이 기금 소진 시기가 13년 연장된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이는 2007년 연금법이 개정된 결과로, 기금 소진에 대한 방안을 마련하여 노력한 결과입니다.
이처럼 기금 소진 시기는 제도 개선 등의 방안으로 늦춰질 수 있으며, 장기적인 전망에 따른 사전 대응책으로 기금 소진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국민과 함께 나아가는 재정계산
재정계산을 통한 제도 개선은 전문가의 의견에 따라 일방적으로 행해지는 것이 아닌, 사회적 합의 속에서 이루어집니다. 무엇보다 국민연금의 주인인 국민의 동의가 있어야만 제도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겠죠! 따라서 국민연금은 앞으로도 국민과의 적극적인 소통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2023년 시행되는 제5차 재정계산
국민 여러분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