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날짜
25-05-23



 핵심만 쏙쏙! 3줄 요약

 ☑ 국민연금은 개인별로 가입하는 사회보험으로, 부부가 최소 가입기간을 채우면, 부부 모두 자신의 연금을 수령할 수 있어요.

 2025년 1월 기준 국민연금 부부 수급자 792,015명, 부부합산 최고 연금액은 월 5,427,630원!

 소득이 없을 때는 '임의가입' 제도를 활용하여 국민연금 가입이 가능해요.




제목은



금요일은 무슨 날? 국민연금 보는 날!
띵동~즐거운 금요일이 돌아왔습니다!

알아두면 도움 되는 연금 정보를 전해드리는 띵동♪ 연금요일!

5월은 사랑하는 가족과 함께하는 가정의 달이죠.

함께일 때 더욱 행복한 우리 가족,
국민연금 수급도 함께할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띵동 연금요일에서 가정의 달을 맞아 함께라면 더~든든한
‘국민연금 부부가입’에 대해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 국민연금 부부가입이란?


국민연금은 개인별로 가입하는 사회보험이기 때문에
부부가 모두 국민연금에 가입해 최소 가입기간(10년) 이상 납부했다면
부부 모두 자신의 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남편이 30년 가입하여 매월 150만 원의 연금을,
부인이 20년 가입하여 100만 원의 노령연금을 받을 권리가 생긴다면
부부는 각자의 노령연금을 받을 수 있죠.

실제로 2025년 1월 기준 부부 모두 국민연금을 받는 수급자는 792,015명,
부부합산 최고 연금액은 월 5,427,630원을 기록했어요.

많은 부부가 국민연금으로
더욱 든든한 노후를 준비하고 있답니다!


■ 소득이 없는 배우자는? '임의가입' 제도를 활용해 보세요!

소득이 없어 사업장가입자 또는 지역가입자 가입대상에 해당되지 않지만,
만약 가입을 희망하신다면
‘임의가입’ 제도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임의가입은 사업장가입자나 지역가입자가 될 수 없는 사람도
국민연금에 가입하여 연금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제도예요.

18세 이상 60세 미만자 본인이 희망할 경우 신청에 의하여 가입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국민연금 가입자 유형이 궁금하다면,
국민연금 맛보기에서 맛보실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부부가입으로
사랑하는 가족과 함께
더욱 든든한 노후를 준비하세요 :)




 
  • 국민연금
  • 국민연금공단
  • 연금공단
  • 부부가입
  • 부부연금
  • 부부국민연금
  • 국민연금부부가입
  • 임의가입
  • 임의가입제도

더 많은 [국민연금 용어사전] 보기

콘텐츠 품질 향상을 위해 이해도와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현재 콘텐츠의 내용과 설명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콘텐츠가 얼마나 이해되십니까?
콘텐츠에 대한 자유로운 의견을 남겨주세요.
0 / 400 byte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