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만 쏙쏙! 3줄 요약 |
☑ 국민연금은 개인별로 가입하는 사회보험으로, 부부가 최소 가입기간을 채우면, 부부 모두 자신의 연금을 수령할 수 있어요. ☑ 2025년 1월 기준 국민연금 부부 수급자 792,015명, 부부합산 최고 연금액은 월 5,427,630원! ☑ 소득이 없을 때는 '임의가입' 제도를 활용하여 국민연금 가입이 가능해요. |
금요일은 무슨 날? 국민연금 보는 날!
띵동~즐거운 금요일이 돌아왔습니다!
알아두면 도움 되는 연금 정보를 전해드리는 띵동♪ 연금요일!
5월은 사랑하는 가족과 함께하는 가정의 달이죠.
함께일 때 더욱 행복한 우리 가족,
국민연금 수급도 함께할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띵동 연금요일에서 가정의 달을 맞아 함께라면 더~든든한
‘국민연금 부부가입’에 대해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 국민연금 부부가입이란?
국민연금은 개인별로 가입하는 사회보험이기 때문에
부부가 모두 국민연금에 가입해 최소 가입기간(10년) 이상 납부했다면
부부 모두 자신의 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남편이 30년 가입하여 매월 150만 원의 연금을,
부인이 20년 가입하여 100만 원의 노령연금을 받을 권리가 생긴다면
부부는 각자의 노령연금을 받을 수 있죠.
실제로 2025년 1월 기준 부부 모두 국민연금을 받는 수급자는 792,015명,
부부합산 최고 연금액은 월 5,427,630원을 기록했어요.
많은 부부가 국민연금으로
더욱 든든한 노후를 준비하고 있답니다!
■ 소득이 없는 배우자는? '임의가입' 제도를 활용해 보세요!
소득이 없어 사업장가입자 또는 지역가입자 가입대상에 해당되지 않지만,
만약 가입을 희망하신다면
‘임의가입’ 제도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임의가입은 사업장가입자나 지역가입자가 될 수 없는 사람도
국민연금에 가입하여 연금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제도예요.
18세 이상 60세 미만자 본인이 희망할 경우 신청에 의하여 가입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국민연금 가입자 유형이 궁금하다면,
국민연금 맛보기에서 맛보실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부부가입으로
사랑하는 가족과 함께
더욱 든든한 노후를 준비하세요 :)
- 국민연금
- 국민연금공단
- 연금공단
- 부부가입
- 부부연금
- 부부국민연금
- 국민연금부부가입
- 임의가입
- 임의가입제도
더 많은 [국민연금 용어사전] 보기
-
[띵동~연금요일] 소득에 따라 달라지는 보험료? 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으로 확인해 보세요!
핵심만 쏙쏙! 3줄 요약 ☑ 기준소득월액이란 국민연금 보험료 및 급여 산정을 위해 소득월액에서 천원 미만을 절사한 금액이에요. ☑ 다 -
[띵동~연금요일] 연금개혁으로 변하는 보험료율과 소득대체율! 어떤 점이 바뀌었을지 함께 알아볼까요?
핵심만 쏙쏙! 3줄 요약 ☑ 보험료율은 월 소득의 몇 %를 국민연금으로 낼지 결정하는 기준이에요. ☑ 소득대체율은 월평균 소득의 몇 % -
[띵동~연금요일] 국민연금 수령액을 늘리는 방법이 있다? 연기연금제도
핵심만 쏙쏙! 3줄 요약- 국민연금 수령액을 늘리고 싶다면? 연기연금제도를 활용해 보세요!- 연기연금제도란 수급자가 연금 지급을 최대 5년까지 -
[띵동~연금요일] 압류 걱정 없이 안전하게 연금을 지켜주는 '국민연금 안심(安心)통장 제도'
핵심만 쏙쏙! 3줄 요약 ☑ 국민연금은 법적으로 압류가 불가능하지만, 일반 계좌로 받을 경우 압류될 수 있음. ☑ ‘국민연금 안심(安心)통
콘텐츠 품질 향상을 위해 이해도와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현재 콘텐츠의 내용과 설명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콘텐츠가 얼마나 이해되십니까?
콘텐츠에 대한 자유로운 의견을 남겨주세요.
0
/ 400
by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