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만 쏙쏙! 3줄 요약 |
☑ 가사근로자란 가사근로자법에 따라 인증받은 가사서비스 제공기관과 근로계약을 체결하여 이용자에게 가사서비스를 제공하는 근로자 ☑ 가사근로자는 가사근로자 연금보험료 지원 제도를 통해 연금보험료의 80%를 최대 36개월까지 지원받을 수 있어요. ☑ 기준소득월액이 270만 원을 초과하거나, 가사근로자 자격을 상실할 경우 지원이 중단됩니다. |
우리 주변을 둘러보면 수많은 직업과
각양각색의 형태를 지닌 근로자분들이 계십니다.
국민연금에는 두루누리, 농어업인 지원제도와 같이
다양한 업종에서 소득활동을 하고 계신 국민연금 가입자를 위한
여러 지원제도가 있어요!
그런데 혹시, 국민연금의 지원제도 중
‘가사근로자 지원제도’도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가사근로자들의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연금보험 부담을 덜어주는
가사근로자 연금보험료 지원제도가 무엇인지
함께 자세히 알아보시죠!
■ 가사근로자 연금보험료 지원제도란?
가사근로자란 가사근로자법에 따라 인증을 받은 가사서비스 제공기관*과 근로계약을 체결해, 이용자에게 가사서비스**를 제공하는 근로자를 의미해요.
* 가사근로자를 5명 이상 고용하고, 대표자 외 관리 인력을 고용하는 등 인증 요건을 갖춘 법인
** 가정 내에서 이뤄지는 청소, 세탁, 주방일과 가구 구성원의 보호·양육 등 가정생활의 유지, 관리에 필요한 업무를 수행하는 것
가사근로자 연금보험료 지원제도는 가사근로자의 권익 보호, 가사서비스 일자리 창출 및 서비스 품질 제고 등을 위해 만들어졌답니다!
가사근로자 연금보험료 지원제도는 2025년 기준, 국민연금 신고 기준소득월액이 270만 원 미만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지원*하고 있어요.
* 행정직 등 가사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근로자는 지원 대상이 아님.
구분 | 가사근로자 연금보험료 지원제도 |
사업장 규모 | 제한없음 (가사서비스 제공기관 인증) 단, 사업장 규모에 따라 지원율 상이 |
사업장 범위 | 법인 |
소득상한액 | 270만 원 미만 |
지원 제한 | 재산세 과세표준 6억 원, 종합소득 4,300만 원 미만 |
지원 수준 | 근로자 수 10인 미만 : 연금보험료의 80% 지원 (사용자부담금의 80% 및 근로자기여금의 80%) 근로자 수 10인 이상 : 연금보험료의 40% 지원 (근로자기여금의 80%만 지원) |
지원 기간 | '22.6월 이후 최대 36개월 |
지원제외대상 | |
사업장 지원제외 | 근로자 지원제외 |
사업장이 업종 변경 등의 사유로 가사서비스 제공기관 인증이 취소된 경우 | 사업장가입자 중 가사서비스를 제공하는 근로자가 아닌 자 (행정직, 운전직 등 다른 업무 근로자) |
고시소득 상한액(270만 원)의 110%를 초과하는 근로자 |
- 국민연금공단
- 연금공단
- 국민연금
- 가사근로자연금보험료지원
- 가사근로자
- 연금보험료지원
- 가사근로자지원
- 지원제도
더 많은 [제도 정보] 보기
-
여러분은 어떤 가입자인가요? 다양한 국민연금 가입자 유형
핵심만 쏙쏙! 3줄 요약 ☑ 1인 이상 근로자가 일하는 사업장에서 일한다면 사업장가입자 의무 가입 대상 ☑ 사업장가입자가 아닌 18 -
[말 나온 김에] 노령연금과 기초연금, 둘이 다른 거라고?
핵심만 쏙쏙! 3줄 요약 ☑ 노령연금은 안정적인 노후를 보장하는 국민연금의 대표적인 급여 ☑ 기초연금은 최소한의 생활 보장을 위 -
2025년 7월 1일, 일용근로자의 국민연금 가입기준이 일부 변경됩니다!
핵심만 쏙쏙! 3줄 요약 ☑ 건설일용근로자의 가입기준이 ‘현장별 적용’에서 ‘사업장별 적용’으로 확대! ☑ 일용근로자의 1개월 근로 -
국민연금 수급 시기를 선택할 수 있다? 조기노령연금과 연기연금
핵심만 쏙쏙! 3줄 요약☑ 연금 수령 시기를 앞당기고 싶을 경우, 조기노령연금을 통해 최대 5년 일찍 연금 수령 가능☑ 연금 수령 시기를 미루고 싶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