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날짜
24-07-11

 핵심만 뽑았다! 3줄 요약

 ▷ 2023년 말 기준 18~59세 인구 대비 국민연금 가입자의 비율은 73.9% 차지해 1999년 제도 도입 도입 초반보다 19.8%p 증가했으며현재 가입자 수는 총 2,238만 명

 ▷ 하지만초저출생의 영향으로 인구감소가 예상됨에 따라 국민연금 가입자 수도 점차 감소할 것으로 전망

 ▷ 지속가능한 사회지속가능한 국민연금을 위해서는 저출생 추세를 반전시키기 위한 국가적 차원의 지원과 우리 모두의 관심이 필요 


제목
숫자로 보는 국민연금 #5 
내용 : 7월 11일 세계인구의날을 맞이하여 알아보는 국민연금 가입& 수급 통계 > </p><p class=

숫자로 보는 국민연금 다섯 번째

 

711일 세계 인구의 날을 맞이하여

국민연금 가입&수급 통계에 대해

 

 

함께 알아볼까요?


표지 제목 국민연금 가입&수급통계 
숫자로 보는 국민연금 #5 7월 11일 세계 인구의 날을 맞이하여 알아보는


711일은 세계 인구의 날입니다.

꾸준히 증가하여 2070년에 103억 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는 세계 인구와 달리,

한국의 인구는 2022년부터 감소하기 시작하여

2070년에는 38백만 명까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인구구조의 변화는 국민연금 제도에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국민연금 가입자 현황을 살펴보면,

그 간의 제도 확대 노력과 인구증가 추세에 힘입어,

2023년 말 기준 18~59세 인구 대비

국민연금 가입자의 비율은 73.9%를 차지

 

1999년 제도 도입 초반보다 19.8%p 증가하였습니다



연령별로는 50대 가입자가 676만 명으로 가장 많으며,

국민연금 의무가입 나이(60)가 지났지만

자발적으로 가입하는 60세 이상 가입자도 53만 명에 이를만큼

 

 

국민연금의 필요성에 대해 많은 분들이 공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초저출생의 영향으로 인구 감소가 예상됨에 따라

 

생산연령인구도 2072년에는 절반 이하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는데요.



인구감소 추세에 따라

 

국민연금 가입자 수도 점차 감소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2023년 국민연금 장기재정추계 결과에 따르면

2050년에 국민연금 수급자 수가 가입자 수를 역전할 것라고 하는데요.

 

제도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연금개혁은 꼭 필요합니다.


 

미래세대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는

세대 간의 이해에 기반한 연금 개혁

이뤄져야 합니다.

 

지속가능한 사회, 지속가능한 국민연금을 위해서는

저출생 추세를 반전시키기 위한 국가적 차원의 지원과

우리 모두의 관심이 필요합니다!

 

 

아이들의 밝은 웃음이 가득한

대한민국을 위해 국민연금공단도 함께 노력하겠습니다.”

  • 국민연금공단
  • 국민연금
  • 가입통계
  • 수급통계
  • 연금개혁
  • 국민연금가입자
  • 인구구조
  • 저출생
  • 국민연금개혁
  • 국민연금연령별통계
  • 세계인구의날
  • 국민연금바로알기

더 많은 [제도 정보] 보기

콘텐츠 품질 향상을 위해 이해도와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현재 콘텐츠의 내용과 설명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콘텐츠가 얼마나 이해되십니까?
콘텐츠에 대한 자유로운 의견을 남겨주세요.
0 / 400 byte
목록으로